저장소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저장소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60)
    • Go (13)
    • Android (3)
    • Java (3)
    • JavaScript (3)
    • SpringBoot (2)
    • Spring (1)
    • React (5)
    • SCM (3)
    • Eclipse (2)
    • DataBase (4)
    • eGovFramework (2)
    • Nexacro (2)
    • 산출물 (0)
    • SQL (1)
    • Unity (3)
    • DApp (1)
    • Server (2)
    • ETC (0)
    • 블록체인 (1)
    • 철학 (0)

검색 레이어

저장소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React

  • [React] 개발환경

    2020.08.19 by 로니콜먼

  • [React] 클래스형 컴포넌트 생명주기

    2020.08.16 by 로니콜먼

  • [React] 깃허브에 리액트 앱 업로드하기

    2020.08.16 by 로니콜먼

  • [React] 실행하기

    2020.08.13 by 로니콜먼

  • [React] 탄생

    2020.08.11 by 로니콜먼

[React] 개발환경

Node 설치 https://nodejs.org/ 로 접속 Node.js Node.js® is a JavaScript runtime built on Chrome's V8 JavaScript engine. nodejs.org 12.18.3 LTS 다운로드 후 설치 npx 설치 npx는 1회성으로 최신버전의 노드 패키지를 내려받아 설치시켜주는 노드 패키지이다 cmd를 통해 설치 npm install npx -g 명령어를 통해 설치 에디터 설치 아래 링크 들어가 VSCode 설치 https://code.visualstudio.com/ Visual Studio Code - Code Editing. Redefined Visual Studio Code is a code editor redefined and opti..

React 2020. 8. 19. 12:39

[React] 클래스형 컴포넌트 생명주기

생명주기 함수 - componentDidMount : 컴포넌트가 처음 화면에 그려지면 실행 - componentDidUpdate : 화면이 업데이트 됐을 때 실행 - componentWillUnmount : 컴포넌트가 화면에서 떠날 때 실행 실행 순서 constructor() -> render() -> componentDidMount() -> (이벤트 발생 시) componentDidUpdate() -> render() -> componentWillUnmount() import React from 'react'; //App클래스가 React.Component를 상속받았으므르 //App클래스에 React.Component의 기능이 추가된다 //클래스형 컴포넌트를 사용하는 이유 : state를 사용하기 위함..

React 2020. 8. 16. 21:19

[React] 깃허브에 리액트 앱 업로드하기

터미널에서 리액트앱 루트 폴더로 이동 후 git init 명령어 입력 Reinitialized existing Git repository in 루트폴더 위치/.git/ 혹은 Initialized existing Git repository in 루트폴더 위치/.git/ 라고 뜨면 성공 내 깃허브 저장소에서 git remote add origin 깃주소 적힌부분 복사해서 사용 이후 다음 3개 명령어를 입력하고 기다리면 리액트앱이 업로드됨 git add . git commit -m "앱 업로드하기" git push origin master 실행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업로드가 완료되면 깃허브 저장소 URL에 접속해본다 커밋한 내용이 뜨면 성공

React 2020. 8. 16. 16:13

[React] 실행하기

1. 폴더 생성 2. 해당 폴더로 이동 3. 프로젝트 생성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Visual Studio Code에서는 터미널에서 yarn start만 입력해주면 실행 가능하다

React 2020. 8. 13. 00:45

[React] 탄생

기존 자바스크립트에서는 DOM을 이용해 요소들을 Select해줬었다. DOM이란 무엇일까? DOM은 각 HTML 엘리먼트의 정보를 지닌고 있는 자바스크립트 객체이다. 그래서 우리는 DOM 덕분에 자바스크립트로 HTML의 엘리먼트들을 변경할 수 있었다. 이 HTML의 엘리먼트들에 대한 작업을 위해 여태껏 자바스크립트에서는 DOM을 직접적으로 건드렸었다. 그러나 DOM을 직접적으로 건드리는 방식은 코드가 난잡해지고 유지보수가 어려운 코드가 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Ember, Backbone, AngularJs와 같은 라이브러리들이 나왔고, 해당 라이브러리들은 상태에 따라 DOM을 어떻게 Update할지에 대한 규칙을 정했다. 그리고 이에 대한 또 새로운 대안을 제시한 라이브러리가 바로 React이다. 리..

React 2020. 8. 11. 13:23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저장소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