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스턴스 생성 첫단계는 AMI(Amazone Machine Image, 아마존 머신 이미지)를 선택하는 것
AMI : ec2 인슨턴스를 시작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이미지로 만들어 둔 것
인스턴스라는 가상 머신에 운영체제 등을 설치할 수 있게 구워넣은 이미지
리눅스2 : 센토스7버전 자료들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음
아니그럼 센토스AMI 사용하지 리눅스AMI를 사용하는 이유?
- 아마존 개발이라 지원받기 쉬움
- 레드햇 베이스므로 레드햇계열 배포판 많이 다뤄본 사람일수록 문제없이 사용가능
- AWS의 각종서비스와의 상성이 좋음
- Amazone 독자적인 개발 리포지터리를 사용하고 있어 yum이 빠르다
AWS를 사용하는데 굳이 AWS에서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운영체제 선택하지 않을 이유 없음
인스턴스 유형을 선택하는 단계이다.
프리티어로 표기된 t2.micro선택
t2, t3 보통 t시리즈라고 부르며, 범용 시리즈로 불리기도 함
그만큼 다양한 사양 사용가능
t시리즈는 다른 서비스와 달리 크레딧이란 일종의 cpu를 사용할 수 있는 포인트 개념이 있음
인스턴스의 크기에 따라 정해진 비율로 cpu크레딧을 계속 받게 되며, 사용하지 않을 떄는 크레딧을 축적하고, 사용할때 축적된 크레딧을 사용함
정해진 사양보다 더 높은 트래픽이 오면 크레딧을 좀더 적극적으로 사용하면서 트래픽을 처리하지만,
크레딧이 모두 사용되면 더이상 ec2를 사용할 수 없음
그래서 트래픽이 높은 서비스들은 t시리즈를 쓰지 않고 다른시리즈를 사용하기도 함
처음 시작하는 단계에서는 활용도가 좋음
세부정보 구성단계
기업에서 사용할 경우 화면상에 표기된 vpc, 서브넷 등을 세세하게 다루지만
일단 혼자서 1대서버를 사용하니 별다른 설정없이 패스
스토리지 선택 단계
스토리지는 흔히 하드디스크라고 부르는 서버의 디스크(ssd도 포함)를 이야기하며 서버의 용량을 얼마나정할지 선택하는 단계
여기서 설정의 기본값은 8gb이지만. 30gb까지 프리티어로 가능하며
그 이상의 사이즈는 비용이 청구되는 프리티어의 최대치인 30gb로 변경
태그에서는 웹 콘솔에서 표기될 태그인 Name태그를 등록함
태그를 해당인스턴스를 표현하는 여러이름으로 사용가능 원하는 ec2의 이름을 붙이는 개념
보안그룹이다. 보안그룹은 방화벽을 의미
서버로 80포트 외에는 허용하지 않는다는 역할을 하는 방화벽이 aws에서는 보안그룹으로 사용됨
기존에 생성된 보안그룹이 없으므로 보안그룹 이름엔 유의미한 이름으로 변경
-----------------------------------고정ip할당-------------------------------
출처 : [도서] 스프링 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